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샤바 카우"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아시아 여자 축구 강호 중 하나였다. 1975년부터 1986년까지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우승 1회, 준우승 3회, 3위 1회의 성적을 거두었다.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처음 진출하여 코트디부아르를 상대로 승리했으나, 2019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3전 전패를 기록했다.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5번의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는 1983년 우승을 포함하여 4강 이상의 성적을 6번 기록했다. 2024년 10월에는 베네수엘라, 멕시코와의 친선 경기를 앞두고 있으며, FIFA 랭킹은 2021년 39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의 여자 국가대표팀 - 태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태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공격적인 배구와 강력한 점프 서브를 특징으로 하며 아시아 선수권 3회 우승과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20회 우승을 기록한 동남아시아 최강의 팀이다. - 태국의 축구 -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태국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아세안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7회 우승하며 동남아시아 축구의 강자이며, AFC 아시안컵에도 8회 출전하는 등 아시아 무대에서도 활약하고 있다. - 태국의 축구 - 태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태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U-23 아시안컵과 아시안 게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하는 태국의 23세 이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압도적인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감독은 니시가야 타카유키이다. - 아시아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9년 혁명 이후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2004년 재창단되어 서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세 차례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 진출, 히잡 착용 문제와 훈련 및 지원 부족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처음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여전히 발전 과정에 있으며 사회적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다. - 아시아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바레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바레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걸프 협력회의 최초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2006년 아랍 여자 토너먼트 우승과 2019년 서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을 기록하며 국제 대회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림 알하시미 선수가 최다 출장 및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다수의 기업 후원을 받고 있다.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팀 이름 |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별칭 | "ชบาแก้ว" (차바 깨우) 차바 깨우 Changsuk (ช้างศึก, 전투 코끼리) |
FIFA 코드 | THA |
협회 | FA 태국 |
연맹 | AFC (아시아) |
하위 연맹 | AFF (동남아시아) |
감독 | 능르타이 스라통비안 (임시) 오카모토 미요 |
주장 | 칸자나폰 생쿤 두앙나파 시딸라 |
최다 출장 선수 | 와라폰 분싱 (142) |
최다 득점 선수 | 피차마이 손사이 (75) |
최고 FIFA 랭킹 | 28 |
최고 FIFA 랭킹 날짜 | 2011년 7월, 2018년 6월 ~ 9월 |
최저 FIFA 랭킹 | 48 |
최저 FIFA 랭킹 날짜 | 2023년 12월 |
유니폼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Thaihome24 pattern_b1: _Thaihome24 pattern_ra1: _Thaihome24 pattern_sh1: _Thaihome24 pattern_so1: _Thaihome24 leftarm1: 1e488d body1: 34548a rightarm1: 1e488d shorts1: 34548a socks1: 34548a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Thaiaway24 pattern_b2: _Thaiaway24 pattern_ra2: _Thaiaway24 pattern_sh2: _Thaiaway24 pattern_so2: _Thaiaway24 leftarm2: d20c0c body2: d20c0c rightarm2: d20c0c shorts2: d20c0c socks2: d20c0c |
서드 유니폼 | pattern_la3: _Thai3rd24update pattern_b3: _Thai3rd24update pattern_ra3: _Thai3rd24update pattern_sh3: _Thai3rd24update pattern_so3: _Tha3rd24update leftarm3: d20c0c body3: d20c0c rightarm3: d20c0c shorts3: d20c0c socks3: d20c0c |
경기 정보 | |
첫 국제 경기 | 3–2 홍콩; 1975년 8월 25일 |
최대 점수차 승리 | 14–0 비엔티안, 라오스; 2009년 12월 4일 14 – 1 호찌민 시, 베트남; 2012년 9월 22일 |
최대 점수차 패배 | 15–0 방콕, 태국; 1998년 12월 12일 |
월드컵 기록 | |
월드컵 출전 횟수 | 2 |
첫 월드컵 출전 | 2015년 |
월드컵 최고 성적 | 그룹 스테이지 2015년, 2019년 |
올림픽 기록 | |
아시안컵 기록 | |
아시안컵 출전 횟수 | 17 |
첫 아시안컵 출전 | 1975년 |
아시안컵 최고 성적 | 우승 (1983년) |
AFF 챔피언십 기록 | |
AFF 챔피언십 출전 횟수 | 11 |
첫 AFF 챔피언십 출전 | 2006년 |
AFF 챔피언십 최고 성적 | 우승 2011년, 2015년, 2016년, 2018년 |
아시안 게임 기록 | |
아시안 게임 출전 횟수 | 5 |
첫 아시안 게임 출전 | 1998년 |
아시안 게임 최고 성적 | 8강 (2014년, 2018년) |
2. 역사
태국은 한때 아시아 여자 축구 강국 중 하나였으며, AFC 여자 아시안컵(구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1975년 제1회 대회부터 1986년 제6회 대회까지 우승 1회, 준우승 3회, 3위 1회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오랫동안 부진을 겪었지만, 2007년부터 다시 힘을 키우고 있다.
FIFA 여자 월드컵은 2015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같은 대회에서 코트디부아르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었지만[16] 노르웨이와 독일에 각각 0-4로 패하며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미국에 대회 역사상 최대 점수 차인 0-13으로 패하는 등[17] 3연패로 대회를 마쳤다.
올림픽 축구는 아직 출전하지 못했다.
2. 1. 초기 역사 (1975년 ~ 1986년)
태국은 한때 아시아 여자 축구 강국 중 하나였으며, AFC 여자 아시안컵(구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1975년 제1회 대회부터 1986년 제6회 대회까지 우승 1회, 준우승 3회, 3위 1회의 성적을 거두었다.2. 2. 침체기와 부활 (1989년 ~ 2014년)
태국은 한때 아시아 여자 축구 강국 중 하나였으며, AFC 여자 아시안컵(구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1975년 제1회 대회부터 1986년 제6회 대회까지 우승 1회, 준우승 3회, 3위 1회의 성적을 거두었다.이후 오랫동안 부진을 겪었지만, 2007년부터 다시 힘을 키우고 있다.
FIFA 여자 월드컵은 2015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같은 대회에서 코트디부아르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었지만[16] 노르웨이와 독일에 각각 0-4로 패하며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미국에 대회 역사상 최대 점수 차인 0-13으로 패하는 등[17] 3연패로 대회를 마쳤다.
2. 3. FIFA 여자 월드컵 도전과 좌절 (2015년 ~ 현재)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5년과 2019년 두 번의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지만,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3][4][5] 2015년 대회에서는 코트디부아르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며 월드컵 본선 첫 승을 기록했다.[8][9] 오라타이 스리마니가 2골, 타나타 차웡이 1골을 기록하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 그러나 독일과 노르웨이에 패하며 조 3위로 대회를 마감했다.[7]
2019년 대회에서는 미국, 스웨덴, 칠레와 함께 F조에 편성되었다. 태국은 미국과의 첫 경기에서 0-13으로 대패하며 불안한 시작을 알렸다.[10][11][12] 이는 태국 남녀 대표팀을 통틀어 국제 대회 최다 점수 차 패배였다. 이후 스웨덴에 1-5, 칠레에 0-2로 연패하며 결국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3][14]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진출을 위해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 참가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베트남과 중화 타이베이에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3. 국제 대회 경력
태국은 한때 아시아 여자 축구 강국 중 하나였으며, AFC 여자 아시안컵(구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1975년 제1회 대회부터 1986년 제6회 대회까지 우승 1회, 준우승 3회, 3위 1회의 성적을 거두었다.[16] 이후 오랫동안 부진을 겪었지만, 2007년부터 다시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
FIFA 여자 월드컵에는 2015년 대회에 처음으로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코트디부아르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었으나,[16] 노르웨이와 독일에 각각 0-4로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미국에 대회 역사상 최대 점수 차인 0-13으로 패하는 등[17] 3전 전패로 대회를 마쳤다.
태국은 현재까지 올림픽 축구 본선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3. 1. FIFA 여자 월드컵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2번(2015년, 2019년) 출전했지만, 2번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5년 대회에서는 코트디부아르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며 여자 월드컵 본선 첫 승을 기록했으나,[8][9] 2019년 대회에서는 3전 전패의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태국 축구 협회는 남자 대표팀보다 투자가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자 대표팀이 자국에서 대회를 개최하지 않고 FIFA 대회에 진출한 최초의 11인제 축구팀(남녀 통합)이 된 것에 주목하여 여자 축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많은 투자를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
2015년 대회에서 태국은 독일, 노르웨이, 코트디부아르와 함께 B조에 편성되었으며,[7] 코트디부아르를 상대로 오라타이 스리마니의 2골과 타나타 차웡의 1골에 힘입어 3-2로 승리하며 조 3위를 차지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미국, 스웨덴, 칠레와 함께 F조에 편성되었다.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준결승에서 강호 오스트레일리아와 2-2 무승부를 기록하는 등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였던 태국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미국과의 개막전에서 0-13으로 대패했다.[10][11][12] 이는 국제 대회에서 태국 남녀 대표팀 모두가 기록한 역대 최다 패배였다. 이후 스웨덴에 1-5, 칠레에 0-2로 패하며 3전 전패로 대회를 마감, FIFA 여자 월드컵 역사상 최악의 성적을 거두었다.[13][14]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1년 | 예선 탈락 | ||||||
1995년 | 불참 | ||||||
1999년 | |||||||
2003년 | 예선 탈락 | ||||||
2007년 | |||||||
2011년 | |||||||
2015년 | 조별 리그 | 3 | 1 | 0 | 2 | 3 | 10 |
2019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1 | 20 |
2023년 | 예선 탈락 | ||||||
2027년 | 미정 | ||||||
합계 | 2/9 | 6 | 1 | 0 | 5 | 4 | 30 |
3. 2. 올림픽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직까지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 적이 없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과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는 불참했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부터 2024년 파리 올림픽까지는 모두 예선에서 탈락했다.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과 2032년 브리즈번 올림픽에서의 결과는 아직 미정이다.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6년 | 불참 | ||||||
2000년 | 불참 | ||||||
2004년 | 예선 탈락 | ||||||
2008년 | 예선 탈락 | ||||||
2012년 | 예선 탈락 | ||||||
2016년 | 예선 탈락 | ||||||
2020년 | 예선 탈락 | ||||||
2024년 | 예선 탈락 | ||||||
2028년 | 미정 | ||||||
2032년 | 미정 | ||||||
합계 | 0/10 | 0 | 0 | 0 | 0 | 0 | 0 |
3. 3. AFC 여자 아시안컵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에 16번 출전했다. 자국에서 열린 1983년 대회에서 우승했고, 1975년, 1977년, 1981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86년 대회에서는 3위를 기록하는 등 총 6번의 대회에서 4강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다.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는 5위를 차지하며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했다.
다음은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AFC 여자 아시안컵 역대 성적이다.
AFC 여자 아시안컵 기록 | ||||||||
---|---|---|---|---|---|---|---|---|
년도 | 개최국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75년 | 준우승 | 4 | 3 | 0 | 1 | 10 | 5 | |
1977년 | 준우승 | 4 | 3 | 0 | 1 | 9 | 2 | |
1980년 | 참가하지 않음 | colspan=6| | ||||||
1981년 | 준우승 | 5 | 3 | 0 | 2 | 6 | 8 | |
1983년 | 우승 | 6 | 6 | 0 | 0 | 25 | 1 | |
1986년 | 3위 | 5 | 4 | 0 | 1 | 15 | 5 | |
1989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1 | 12 | |
1991년 | 조별 리그 | 3 | 1 | 1 | 1 | 4 | 10 | |
1993년 | 참가하지 않음 | colspan=6| | ||||||
1995년 | 조별 리그 | 2 | 1 | 0 | 1 | 3 | 4 | |
1997년 | 참가하지 않음 | colspan=6| | ||||||
1999년 | 조별 리그 | 4 | 2 | 0 | 2 | 6 | 10 | |
2001년 | 조별 리그 | 4 | 2 | 0 | 2 | 5 | 9 | |
2003년 | 조별 리그 | 4 | 2 | 0 | 2 | 6 | 21 | |
2006년 | 조별 리그 | 4 | 1 | 0 | 3 | 2 | 26 | |
2008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1 | 11 | |
2010년 | 조별 리그 | 3 | 1 | 0 | 2 | 2 | 7 | |
2014년 | 5위 | 4 | 2 | 0 | 2 | 4 | 13 | |
2018년 | 4위 | 5 | 2 | 1 | 2 | 12 | 11 | |
2022년 | 8강 | 4 | 1 | 0 | 3 | 5 | 10 | |
2026년 | 결정되지 않음 | colspan=6| | ||||||
총계 | 우승 | 17회 | 68 | 33 | 2 | 33 | 114 | 164 |
AFC 여자 아시안컵 기타 기록 | |
---|---|
첫 경기 | 3–2 오스트레일리아 (1975년 8월 25일; 홍콩) |
최다 점수차 승리 | 8–0 말레이시아 (1983년 4월 10일; 방콕, 태국) |
최다 점수차 패배 | 0–1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03년 6월 12일; 방콕, 태국) |
최고 성적 | 1983년 대회 우승 |
최악의 성적 | 9개 대회 조별 리그 탈락 |
3. 4. 아시안 게임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시안 게임에 총 5번 출전했다. 2014년, 2018년, 2022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하여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8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 2경기에서 모두 패했고, 8강에서도 중국에 0-5로 크게 졌다.연도 | 개최국 | 결과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1990 | 참가하지 않음 | ||||||||
1994 | |||||||||
1998 | 조별 리그 | 7위 | 3 | 0 | 1 | 2 | 1 | 22 | |
2002 | 참가하지 않음 | ||||||||
2006 | 조별 리그 | 6위 | 3 | 1 | 0 | 2 | 5 | 11 | |
2010 | 6위 | 2 | 0 | 0 | 2 | 0 | 6 | ||
2014 | 8강 | 6위 | 4 | 2 | 0 | 2 | 21 | 7 | |
2018 | 7위 | 3 | 0 | 0 | 3 | 2 | 10 | ||
2022 | 7위 | 3 | 1 | 0 | 2 | 1 | 5 | ||
2026 | 미정 | ||||||||
총계 | 8강 | 6위 | 18 | 4 | 1 | 13 | 30 | 61 |
시즌 | 라운드 | 상대 | 스코어 | 결과 | 경기장 |
---|---|---|---|---|---|
1998 | 조별 리그 | 일본 | 0–6 | 패배 | 파툼타니, 태국 |
베트남 | 1–1 | 무승부 | 파툼타니, 태국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15 | 패배 | 방콕, 태국 | ||
2006 | 조별 리그 | 중국 | 0–7 | 패배 | 도하, 카타르 |
일본 | 0–4 | 패배 | 알라이얀, 카타르 | ||
요르단 | 5–0 | 승리 | 도하, 카타르 | ||
2010 | 조별 리그 | 일본 | 0–4 | 패배 | 광저우, 중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2 | 패배 | 광저우, 중국 | ||
2014 | 조별 리그 | 대한민국 | 0–5 | 패배 | 인천, 대한민국 |
몰디브 | 10–0 | 승리 | 인천, 대한민국 | ||
인도 | 10–0 | 승리 | 인천, 대한민국 | ||
8강 | 베트남 | 1–2 | 패배 | 고양, 대한민국 | |
2018 | 조별 리그 | 일본 | 0–2 | 패배 | 팔렘방, 인도네시아 |
베트남 | 2–3 | 패배 | 팔렘방, 인도네시아 | ||
8강 | 중국 | 0–5 | 패배 | 팔렘방, 인도네시아 | |
2022 | 조별 리그 | 인도 | 1–0 | 승리 | 웬저우, 중국 |
중화 타이베이 | 0–1 | 패배 | 웬저우, 중국 | ||
8강 | 중국 | 0–4 | 패배 | 항저우, 중국 |
태국의 아시안 게임 최고 성적은 8강이며, 최다 득점 경기는 2014년 몰디브전(10-0 승)과 인도전(10-0 승)이다. 최다 실점 경기는 199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전(0-15 패)이다.
3. 5. 동남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아세안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10번 출전하여 4번 우승했고, 2번 준우승을 차지하여 이 대회의 최다 우승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2013년 대회를 제외하고는 꾸준히 3위 이상의 성적을 거두고 있다.AFF 여자 챔피언십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2004년 | 참가하지 않음 | |||||||
2006년 | 3위 | 3위 | 3 | 1 | 1 | 1 | 6 | 6 |
2007년 | 준우승 | 2위 | 5 | 3 | 0 | 2 | 26 | 7 |
2008년 | 3위 | 3위 | 5 | 3 | 0 | 2 | 22 | 4 |
2011년 | 우승 | 1위 | 5 | 5 | 0 | 0 | 22 | 4 |
2012년 | 3위 | 3위 | 4 | 3 | 0 | 1 | 21 | 2 |
2013년 | 조별리그 | 5위 | 4 | 2 | 1 | 1 | 12 | 3 |
2015년 | 우승 | 1위 | 5 | 4 | 0 | 1 | 27 | 7 |
2016년 | 우승 | 1위 | 5 | 3 | 1 | 1 | 15 | 4 |
2018년 | 우승 | 1위 | 6 | 6 | 0 | 0 | 37 | 5 |
2019년 | 준우승 | 2위 | 6 | 5 | 0 | 1 | 31 | 4 |
2022년 | 준우승 | 2위 | 7 | 5 | 1 | 1 | 16 | 5 |
총계 | 우승 | 1위 | 55 | 40 | 4 | 11 | 235 | 51 |
AFF 여자 챔피언십 역사 | |||||
---|---|---|---|---|---|
첫 경기 | 3–2 [1] (2006년 5월 29일; 호찌민, 베트남) | ||||
최다 승점 차 승리 | 1–14 [2] (2012년 9월 22일; 호찌민, 베트남) | ||||
최다 승점 차 패배 | 0–3 [3] (2015년 5월 1일; 호찌민, 베트남) 0–3 [4] (2022년 7월 17일; 마닐라, 필리핀) | ||||
최고 성적 | 우승 2011년, 2015년, 2016년, 2018년 | ||||
최악의 성적 | 조별리그 2013년 |
3. 6.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 11번 출전하여 베트남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금메달 5개(1985년, 1995년, 1997년, 2007년, 2013년)와 은메달 4개(2001년, 2009년, 2017년, 2019년), 동메달 2개(2003년, 2005년)를 획득하였다.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85년 | 금메달 | 1위 | 2 | 2 | 0 | 0 | 10 | 0 |
1995년 | 금메달 | 1위 | 5 | 4 | 1 | 0 | 16 | 3 |
1997년 | 금메달 | 1위 | 4 | 4 | 0 | 0 | 11 | 3 |
2001년 | 은메달 | 2위 | 5 | 3 | 1 | 1 | 9 | 6 |
2003년 | 동메달 | 3위 | 4 | 2 | 0 | 2 | 11 | 8 |
2005년 | 동메달 | 3위 | 4 | 2 | 0 | 2 | 4 | 4 |
2007년 | 금메달 | 1위 | 4 | 3 | 1 | 0 | 18 | 2 |
2009년 | 은메달 | 2위 | 5 | 2 | 3 | 0 | 22 | 5 |
2013년 | 금메달 | 1위 | 4 | 3 | 1 | 0 | 15 | 4 |
2017년 | 은메달 | 2위 | 4 | 3 | 1 | 0 | 13 | 4 |
2019년 | 은메달 | 2위 | 4 | 2 | 1 | 1 | 7 | 3 |
2021년 | 은메달 | 2위 | 5 | 3 | 1 | 1 | 12 | 2 |
2023년 | 동메달 | 3위 | 5 | 4 | 0 | 1 | 21 | 4 |
총계 | 금메달 | 1위 | 55 | 37 | 9 | 8 | 169 | 48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역사 | |||||
---|---|---|---|---|---|
첫 경기 | 4–0 (1985년 12월 9일; 방콕, 태국) | ||||
최다 승점 차 승리 | 0–14 (2009년 12월 4일; 비엔티안, 라오스) | ||||
최다 승점 차 패배 | 4–0 (2001년 9월 14일;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최고 성적 | 우승 1985년, 1995년, 1997년, 2007년, 2013년 | ||||
최악 성적 | 조별 예선 2003년, 2005년, 2023년 |
4. 팀 이미지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샤바 카우"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FIFA 여자 월드컵 랭킹은 2003년부터 발표되었으며, 원칙적으로 3개월마다 발표된다. 오스트레일리아가 2006년부터 아시아축구연맹(AFC)에 가입하면서 AFC 내 순위에도 영향을 미쳤다.
발표일 | 순위 | 변동 | AFC 내 순위 | 변동 |
---|---|---|---|---|
2003년 7월 16일 | 41위 | -- | 6위 | -- |
2003년 8월 29일 | 41위 | → | 6위 | → |
2003년 10월 24일 | 41위 | → | 6위 | → |
2003년 12월 15일 | 41위 | → | 6위 | → |
2004년 3월 15일 | 41위 | → | 6위 | → |
2004년 6월 7일 | 41위 | → | 6위 | → |
2004년 8월 30일 | 40위 | ↑ | 6위 | → |
2004년 12월 20일 | 41위 | ↓ | 6위 | → |
2005년 3월 25일 | 41위 | → | 6위 | → |
2005년 6월 24일 | 40위 | ↑ | 6위 | → |
2005년 9월 16일 | 40위 | → | 6위 | → |
2005년 12월 21일 | 41위 | ↓ | 7위 | ↓ |
2006년 3월 17일 | 40위 | ↑ | 8위 | ↓ |
2006년 5월 19일 | 41위 | ↓ | 8위 | → |
2006년 9월 15일 | 42위 | ↓ | 8위 | → |
2006년 12월 22일 | 40위 | ↑ | 8위 | → |
2007년 3월 16일 | 40위 | → | 8위 | → |
2007년 6월 15일 | 33위 | ↑ | 7위 | ↑ |
2007년 10월 5일 | 34위 | ↓ | 7위 | → |
2007년 12월 21일 | 33위 | ↑ | 7위 | → |
2008년 3월 21일 | 34위 | ↓ | 7위 | → |
2008년 6월 6일 | 35위 | ↓ | 8위 | → |
2008년 9월 5일 | 35위 | → | 8위 | → |
2008년 12월 19일 | 35위 | → | 8위 | → |
2009년 3월 27일 | 35위 | → | 8위 | → |
2009년 6월 26일 | 35위 | → | 8위 | → |
2009년 9월 25일 | 33위 | ↑ | 7위 | ↑ |
2009년 12월 18일 | 33위 | → | 7위 | → |
4. 1. 별명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샤바 카우"라는 별명으로 불린다.4. 2. FIFA 여자 월드컵 랭킹
- 2003년부터 FIFA 여자 월드컵 랭킹이 발표되었으며, 현재는 원칙적으로 3개월마다 발표된다.
발표일 | 순위 | 변동 | AFC 내 순위 | 변동 |
---|---|---|---|---|
2003년 7월 16일 | 41위 | -- | 6위 | -- |
2003년 8월 29일 | 41위 | → | 6위 | → |
2003년 10월 24일 | 41위 | → | 6위 | → |
2003년 12월 15일 | 41위 | → | 6위 | → |
2004년 3월 15일 | 41위 | → | 6위 | → |
2004년 6월 7일 | 41위 | → | 6위 | → |
2004년 8월 30일 | 40위 | ↑ | 6위 | → |
2004년 12월 20일 | 41위 | ↓ | 6위 | → |
2005년 3월 25일 | 41위 | → | 6위 | → |
2005년 6월 24일 | 40위 | ↑ | 6위 | → |
2005년 9월 16일 | 40위 | → | 6위 | → |
2005년 12월 21일 | 41위 | ↓ | 7위 | ↓ |
2006년 3월 17일 | 40위 | ↑ | 8위 | ↓ |
2006년 5월 19일 | 41위 | ↓ | 8위 | → |
2006년 9월 15일 | 42위 | ↓ | 8위 | → |
2006년 12월 22일 | 40위 | ↑ | 8위 | → |
2007년 3월 16일 | 40위 | → | 8위 | → |
2007년 6월 15일 | 33위 | ↑ | 7위 | ↑ |
2007년 10월 5일 | 34위 | ↓ | 7위 | → |
2007년 12월 21일 | 33위 | ↑ | 7위 | → |
2008년 3월 21일 | 34위 | ↓ | 7위 | → |
2008년 6월 6일 | 35위 | ↓ | 8위 | → |
2008년 9월 5일 | 35위 | → | 8위 | → |
2008년 12월 19일 | 35위 | → | 8위 | → |
2009년 3월 27일 | 35위 | → | 8위 | → |
2009년 6월 26일 | 35위 | → | 8위 | → |
2009년 9월 25일 | 33위 | ↑ | 7위 | ↑ |
2009년 12월 18일 | 33위 | → | 7위 | → |
- 2006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가 AFC에 가입하면서 AFC 내 순위에도 영향을 미쳤다.
5.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 |
---|---|
감독대행 | 누엥루타이 스라통비안 |
코치 | 아차리아 와닛차논 |
코치 | 크릿사다 푸앙말리 |
코치 | 사윈 자라트펫차나찬 |
골키퍼 코치 | 섹산 세왁수트라 |
피트니스 코치 | 초티웃 부냐푸카나 |
경기 분석관 | 칸타 하시바|Kanta Hashiba일본어 |
물리치료사 | 타이키 사이토|Taiki Saito일본어 |
6. 선수
태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는 다음과 같은 선수들이 있다.
- 자니스타 진난투야(Janista Jinantuya)
- 타니깐 댕다(Tanigan Deendar)
- 폼피룬 필라완(Pompimporn Pirawan)
이 명단은 2024년에 소집된 선수 명단을 포함하여 작성되었으며, 최근 선수 명단은 하위 섹션인 '현재 선수 명단'에 자세히 나와 있다.
6.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0월 21일과 30일에 각각 베네수엘라, 멕시코와의 친선 경기를 위해 다음 22명의 선수가 소집되었다.[15]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클럽 | |
---|---|---|---|---|
GK | 티파니 손파오 | Tiffany Sornpao영어 | 1998년 5월 22일 | 브뢴뷔 |
GK | 야다 생용 | Yada Sengyong영어 | 1993년 9월 10일 | 나콘시탐마랏 스포츠 스쿨 |
GK | 지다파 파라 | Jidapa Phara영어 | 2003년 4월 11일 | BGC–아시안 스콜라스 칼리지 |
DF | 깐자나폰 생쿤 | Kanjanaporn Saengkoon영어 | 1996년 7월 18일 | BGC–아시안 스콜라스 칼리지 |
DF | 수파프론 인타라프라싯 | Supapron Intaraprasit영어 | 2004년 2월 18일 | 촌부리 |
DF | 오라완 케리수완나쿨 | Orawan Keereesuwannakul영어 | 1997년 6월 30일 | 촌부리 |
DF | 팁크릿타 온사마이 | Tipkritta Onsamai영어 | 2000년 6월 17일 | BGC–아시안 스콜라스 칼리지 |
DF | 폰피룬 필라완 | Pornphirun Pilawan영어 | BGC–아시안 스콜라스 칼리지 | |
DF | 탐올완 락사팍디 | Thamolwan Raksaphakdi영어 | 2000년 2월 24일 | BGC–아시안 스콜라스 칼리지 |
DF | 파리찻 통롱 | Parichat Thongrong영어 | 2006년 5월 14일 | 나콘시탐마랏 주 스포츠 스쿨 |
MF | 팟타라난 아우파차이 | Pattaranan Aupachai영어 | 2002년 7월 9일 | 항위안 |
MF | 실라완 인타미 | Silawan Intamee영어 | 1994년 1월 22일 | 타이중 블루 웨일 |
MF | 파니타 지라타나피분 | Panitha Jiratanaphibun영어 | 2004년 6월 27일 | 광시 평과 베이농 |
MF | 피쿨 쿠엔펫 | Pikul Khueanpet영어 | 1998년 9월 20일 | BGC–아시안 스콜라스 칼리지 |
MF | 니파완 파뇨숙 | Nipawan Panyosuk영어 | 1995년 3월 15일 | 항위안 |
MF | 찻차완 로드통 | Chatchawan Rodthong영어 | 2002년 7월 22일 | 방콕 |
MF | 플럼자이 손티사왓 | Pluemjai Sontisawat영어 | 2003년 7월 20일 | 촌부리 |
FW | 카냐낫 쳇사붓 | Kanyanat Chetsabut영어 | BGC–아시안 스콜라스 칼리지 | |
FW | 피차야티다 마노왕 | Pitchayathida Manowang영어 | 2006년 11월 17일 | 방콕 스포츠 스쿨 클럽 |
FW | 지라폰 몽콜디 | Jiraporn Mongkoldee영어 | 1998년 8월 13일 | 방콕 |
FW | 깐차나타트 품스리 | Kanchanathat Poomsri영어 | 2003년 1월 17일 | 카셈 분딧 대학교 |
FW | 오라핀 웬고엔 | Orapin Waenngoen영어 | 1995년 10월 7일 | BGC–아시안 스콜라스 칼리지 |
6. 2. 최근 차출된 선수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소속 클럽 | 최근 차출 |
---|---|---|---|---|
GK | 호미야멘 파와리사|Homyamen Pawaristh | 2004년 1월 31일 | 촌부리 | v. 중화 타이베이, 2024년 8월 4일 |
DF | 클링클라이 피냐팟|Klingklai Pinyapatth | 2008년 1월 26일 | 나콘시탐마랏 스포츠 스쿨 | v. 중화 타이베이, 2024년 8월 4일 |
DF | 세나부타 사쿠나|Senabut Sakunath | 1995년 9월 8일 | 방콕 | v. 중화 타이베이, 2024년 8월 4일 |
MF | 켓카우 파사왕|Ketkaew Passawangth | 2003년 9월 22일 | 촌부리 | v. 뉴질랜드, 2024년 4월 9일 |
MF | 프람낙 넛와디|Pramnak Natchareeth | 2000년 10월 9일 | 나가노 파르세이루 | v. 뉴질랜드, 2024년 4월 9일 |
FW | 펭-응암 사오왈락|Peng-ngam Saowalakth | 1996년 11월 30일 | 타이중 블루 웨일 | v. 중화 타이베이, 2024년 8월 4일 |
FW | 잉삭쿨 아치라야|Ingsakul Achirayath | 2007년 12월 13일 | 프라 나콘 | v. 중화 타이베이, 2024년 8월 4일 |
- 자니스타 진난투야
- 타니깐 댕다
- 폼피룬 필라완
참조
[1]
웹사이트
ท็อป 100! อันดับฟีฟ่าแรงกิ้งเดือนมิ.ย.ของ ทีมชาติไทย หลังจบคัดบอลโลก
https://www.siamspor[...]
[2]
웹사이트
เยี่ยม ! "ชบาแก้ว" รั้ง 28 ของโลกจากการจัดอันดับโลกล่าสุด
https://www.ballthai[...]
2018-06-26
[3]
웹사이트
"ชบาแก้ว" พร้อมลุย ฟุตบอลโลกสมัย 2
https://www.thairath[...]
2019-06-09
[4]
웹사이트
บอลหญิงไทยหมดท่าเสียฟอร์มอย่างแรงแพ้ 'ไต้หวัน' 0–1 เปิดหัวคัดโอลิมปิก
https://www.matichon[...]
2020-02-03
[5]
웹사이트
ข่าวกีฬาทีมฟุตบอลหญิงไทย วันนี้ล่าสุด อัปเดตข่าวกีฬาทีมฟุตบอลหญิงไทย ล่าสุด
https://www.sanook.c[...]
2023-08-13
[6]
웹사이트
ฟุตบอลหญิงชิงแชมป์โลก กลุ่ม บี: ทีมชาติไทยเป็นรองแค่ชื่อ แต่...หัวใจแกร่งไม่แพ้ใคร
https://www.fourfour[...]
[7]
웹사이트
Thaiger ข่าวไทย : รายงานข่าวล่าสุด อัปเดตข่าวด่วนทันเหตุการณ์
https://thethaiger.c[...]
2022-08
[8]
웹사이트
ครั้งแรกในประวัติศาสตร์ "บอลหญิงไทยไปบอลโลก"
https://tv.bectero.c[...]
2015-05-14
[9]
웹사이트
'หญิงแกร่งเบื้องหลังฟุตบอลหญิงไทยไปบอลโลก' นวลพรรณ ล่ำซำ
https://www.posttoda[...]
2014-06-09
[10]
뉴스
USA 13–0 Thailand: United States claim biggest ever Women's World Cup win
https://www.bbc.com/[...]
2019-06-12
[11]
웹사이트
Thaiger ข่าวไทย : รายงานข่าวล่าสุด อัปเดตข่าวด่วนทันเหตุการณ์
https://thethaiger.c[...]
2022-08
[12]
웹사이트
ร่ำไห้! "มาดามแป้ง-โค้ชหนึ่ง" อำลา ผจก.ทีมชาติฟุตบอลหญิงแล้ว
https://www.newtv.co[...]
2019-06-21
[13]
뉴스
Sweden book place in last 16 of World Cup as Thailand endure another rout
https://www.telegrap[...]
2019-06-16
[14]
웹사이트
Thaiger ข่าวไทย : รายงานข่าวล่าสุด อัปเดตข่าวด่วนทันเหตุการณ์
https://thethaiger.c[...]
2022-08
[15]
Facebook
ประกาศ : รายชื่อ 22 แข้งฟุตบอลหญิงทีมชาติไทย เก็บตัวเตรียมอุ่นเครื่อง เม็กซิโก-เวเนซุเอลา
https://www.facebook[...]
[16]
웹사이트
Thailand complete Côte d’Ivoire comeback
https://www.fifa.com[...]
국제축구연맹
2015-06-12
[17]
웹사이트
FIFA Women's World Cup France 2019(TM) - Matches - USA - Thailand
https://www.fifa.com[...]
국제축구연맹
2019-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